티스토리 뷰


"내가 더 멀리 보았다면 이는 거인들의 어깨 위에 올라서 있었기 때문이다."


아이작 뉴턴의 위대함과 그의 겸손함을 동시에 표현할 때 곧잘 인용되는 문장입니다.


뉴턴은 이 문장을 1676년 그의 경쟁자였던 과학자 로버트 후크와 공로에 관해 언쟁을 벌이는 편지에서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이 문장은 그가 창작해낸 문장은 아닙니다.

당시에 널리 알려져 있던 것을 가져와 인용한 것입니다.


'과학사회학'이라는 영역을 세워 토마스 쿤과 함께 20세기 위대한 사상가 중 한 명으로 불리는 로버트 머튼은 [거인의 어깨 위에서]라는 책에서 이 문장의 근원을 추적했습니다.

이 책에 따르면 뉴턴의 이 문장은 거의 500년 이상을 거슬러 올라갑니다.



뉴턴은 1651년 조지 허버트가 쓴 문장에서 빌려왔습니다.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선 난쟁이는 거인보다 더 멀리 본다."


허버트는 1621년 로버트 버튼에게 빌려왔습니다.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선 난쟁이는 거인 자신보다 더 멀리 볼 수 있다."


버튼은 스페인 신학자 디에고 데 에스텔라에게 빌려왔는데 그는 1159년 존 솔즈베리의 글에서 빌려왔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우리는 거인들의 어깨 위에 있는 난쟁이들과 같기 때문에 거인보다 더 많이, 그리고 더 멀리 있는 사물을 볼 수 있지만 이는 우리 시력이 좋기 때문도 아니고, 우리 신체가 뛰어나기 때문도 아닌, 거인의 거대한 몸집이 우리를 들어 올려 높은 위치에 싣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솔즈베리가 원조일까요? 아닙니다.

솔즈베리는 1130년 베르나르 사르트르가 쓴 글에서 따왔습니다.

"우리는 거인들의 어깨 위에 올라선 난쟁이들과 같기 때문에 고대인들보다 더 많이 그리고 더 멀리 볼 수 있다."


사르트르가 이 문장을 어디서 얻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이처럼 "거인의 어깨 위에서 보았다"는 문장은 역사가 오래된 문장입니다.

누가 처음 말했는지도 알 수 없는 문장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대부분 뉴턴의 경구로 이 문장을 알고 있습니다.



뉴턴이 이 문장을 자기의 문장인 것처럼 썼기 때문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뉴턴은 이 말을 자기가 독창적으로 한 것이라고 하지 않았습니다.

단지 너무나 흔한 경구였기에 출처를 인용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죠.


로버트 K. 머튼


과학사회학자인 머튼의 주장은 이렇습니다.

"어떤 개인에게 전적으로 공을 돌린다는 발상 자체가 근본적으로 오류다."


즉, 뉴턴은 이미 뉴턴이기 때문에 그가 쓴 문장 하나에도 아우라가 씌워진다는 것입니다.

발터 벤야민은 '아우라'에는 오리지널리티가 있다고 했습니다.

뉴턴 이전에 이미 널리 알려진 문장이지만 뉴턴의 아우라의 힘으로 후대엔 뉴턴의 문장으로 남은 것입니다.


그렇게 보면, 내가 혼자 다 한 게 아니라며 '겸손'을 강조하는 이 문장이 뉴턴의 말로 남게 된 경위가 참 아이러니하게 느껴집니다.

이 문장 자체가 이미 500년 이상 축적된 어떤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 타고 있는 셈이니까요.



머튼은 이렇게 정리합니다.


"모든 창조자는 시공간에서 타인에게 둘러싸여 있고 죽은 자와 산 자를 불문하고 수많은 타인에게 개념, 맥락, 도구, 방법론, 데이터, 법칙, 원칙, 모형을 물려받는다."


즉, 모든 창조 영역은 광대한 연결 공동체이므로 어떤 창조자도 지나치게 많은 공을 차지할 자격은 없다는 것입니다.



이미 유명한 사람이 공로를 독차지하는 것, 머튼은 이를 '마태효과'라고 명명했습니다.


"무릇 있는 자는 더 많이 받아 풍족하게 되리라. 없는 자는 가진 것마저 빼앗기리라."

마태복음 25장 29절에서 따온 용어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안타까운 사실은 마태효과라는 용어 자체가 마태효과의 산물이라는 것입니다.

무슨 말이냐고요?


마태효과는 원래 '주커먼 효과'라고 불리웠습니다.

해리엇 주커먼이라는 여성 사회학자가 발견했기 때문에 그녀의 이름을 붙인 것이죠.


해리엇 주커먼


주커먼은 노벨상 수상자 41명을 인터뷰한 뒤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노벨상을 수상한 이후 많은 수상자들은 연구팀에 들어가기를 꺼려하더라는 것이죠.


왜냐하면 이미 유명한 사람에게 공로를 몰아주려는 경향이 사회에 만연하기 때문입니다.

가장 유명한 사람이 지나치게 많은 공로를 인정받는 것입니다.



가령, A라는 연구팀에 노벨상 수상 교수와 연구진이 있다고 하면 모든 공로는 그 노벨상 수상 교수에게 돌아가는 식이죠.

노벨상 수상자들이 다른 연구팀에 들어가면 다른 유명한 사람과 섞여 본인이 묻히거나 혹은 다른 무명의 연구자들의 연구를 본의 아니게 침범하게 됩니다.

어느 경우라도 노벨상 수상자들에겐 부담스러울 것입니다.


다른 예를 들어 봅시다.


백상예술대상 시상식의 나영석PD


나영석 PD가 최근 백상예술대상에서 방송대상을 수상하며 이런 말을 했습니다.


"이 자리에 섰으니 하고 싶은 말 좀 하겠습니다. 이 상은 제가 혼자 해서 받은 게 아닙니다. 저와 함께 한 동료 PD와 작가들, 스태프들이 고생해서 만든 프로그램으로 제가 대신 받은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멘트에 감동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대중이 다른 PD나 작가나 스태프들이 누구였는지 궁금해하지는 않습니다. 그냥 나영석만 기억할 뿐입니다.


승자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이라고요?

그런데 그게 사실이고, 그게 현실입니다.



그나마 과학계는 능력을 중시하는 집단이라는 가치관이 있었는데 주커먼은 과학계에 대한 환상마저 깨버렸습니다.

이것이 바로 '주커먼 효과'입니다.


그런데 '주커먼 효과'가 '마태효과'로 바뀐 이유는 주커먼의 연구를 눈여겨 본 머튼이 주커먼의 발견에 마태효과라는 이름을 붙여주었기 때문입니다.


아시죠?

저명한 사람이 한 말이 더 잘 회자되고 더 오래 남는다는 것을요.


말하자면 주커먼은 자신이 발견한 주커먼 효과 때문에 '주커먼 효과'라는 이름을 '마태효과'에 빼앗기게 된 것입니다.




그렇다면 머튼이 주커먼의 공로를 가로챈 것일까요?


그런 것은 아닙니다.

머튼은 주커먼의 업적을 알리고 싶어서 그렇게 했습니다.

공식석상에서도 이것은 주커먼의 발견이라고 치켜세웠습니다.

또 두 사람은 공동으로 연구하고 결혼까지 했습니다.


그러나 세상은 로버트 머튼이라는 과학사회학의 거장과 그가 명명한 마태효과를 더 오래 기억합니다.


백종원은 예전엔 소유진의 남편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이젠 오히려 소유진이 백종원의 부인으로 불리죠.

이처럼 결국엔 유명한 사람이 '이름'을 차지합니다.

이것이 바로 '마태효과' 또는 '주커먼 효과'입니다.


로잘린드 프랭클린


로잘린드 프랭클린이라는 여성 과학자의 불운한 인생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그녀는 DNA의 나선구조를 발견하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습니다.

그러나 모든 업적을 세 명의 남자에게 빼앗겼습니다.


제임스 왓슨, 프랜시스 크릭, 모리스 윌킨스는 그녀의 데이터와 사진을 사용했음이 분명하지만 노벨상 수상 전후 단 한 번도 그녀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윌킨스는 그녀가 "엑스레이 분석에 아주 귀중한 공헌을 했다"고만 말함으로써 그녀의 업적을 엑스레이 분석에만 국한시켰습니다.

그녀를 자료분석하는 조수로만 여긴 것입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로잘린드 프랭클린이라는 거인의 어깨 위에 서 있습니다.

바이러스학, 줄기세포 연구, 유전자 치료, DNA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그녀의 영향력이 뻗쳐 있습니다.

나사의 화성 탐사 로봇 '큐리오시티'에 자체 내장된 엑스레이 결정기술과 화성에서 생명체를 찾아내기 위한 DNA 핵염기 분석기술도 그녀의 연구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난소암으로 37세에 사망하기까지 런던 대학교와 버크벡 칼리지에서 연구직으로 일하면서 세계 최초로 결정체 구조를 발견했습니다.


로잘린드 프랭클린


그녀는 어린 시절부터 과학에 호기심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당시는 여성이 교육받는 것이 쉽지 않은 시대였습니다.


그녀는 캠브리지대 화학과 입시에서 수석을 차지했지만 여성이라는 이유로 학부생이 될 수 없었습니다.

대신 그녀는 캠브리지대 안에 여성을 위해 만들어진 '뉴넘 칼리지'에서 교육받았습니다.


아주 오래전 일도 아닙니다.

불과 80년 전인 1930년대의 일입니다.

영국왕립학회 과학자들이 여성을 회원으로 받아들인 것이 1945년이니 남녀가 동등하다는 생각의 역사는 참 짧습니다.



프랭클린은 DNA 사진을 찍었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패터슨 함수'라는 복잡한 수학 방정식을 사용했습니다.

컴퓨터는커녕 계산기도 없던 1950년대 그녀는 수작업으로 삼차원 결정 분자를 분석했습니다.


그녀가 이 작업을 거의 마쳤을 때 킹스 칼리지에서 일하던 모리스 윌킨스는 그녀에게 동의를 구하지 않고 그녀의 데이터와 사진을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에게 보여주었고, 세 사람은 공동으로 노벨상을 수상했습니다.

프랭클린은 죽을 때까지 세 남자가 자신의 연구를 훔쳤다는 사실을 몰랐다고 하네요.


"여성은 과학자가 될 수 없다.

여성이 그렇게 훌륭한 DNA 사진을 찍었을 리 없다.

여성이 그렇게 어려운 수학 방정식을 사용했을 리 없다."


이런 고정관념 때문에 세상은 프랭클린의 업적을 제때 알아보지 못했습니다.

왓슨, 크릭, 윌킨스는 노벨상 수상자가 됐고, 유명해져서 얻은 그들의 마태효과는 그들의 업적이 다른 사람에게서 뺏어온 것이라는 사실을 잊게 만들어 주었습니다.

뒤늦지만 프랭클린에게 그녀의 업적에 걸맞는 '이름'을 찾아주어야 할 것입니다.

그래야 자신이 창작하지 않은 문장으로 칭송받는 뉴턴도 웃을 수 있지 않을까요?


제임스 왓슨


PS) 왓슨은 2007년 선데이 타임스 매거진과의 인터뷰에서 "실험 결과 흑인은 지능이 낮다"는 발언을 해 인종차별주의자로 몰려 모든 직책에서 쫓겨났으니 어쩌면 인과응보인지도 모르겠네요.



>> 미모의 과학자 로잘린드 프랭클린 그 불운한 사연


(참조: 케빈 애쉬튼 저 [창조의 발견] 205~212쪽)



Youchang
저널리스트. [세상에 없던 생각] [스쳐가는 모든것들 사이에서 버텨가는] 저자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