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조선의 역사는 거대한 공신집단과 재야 사림 사이의 투쟁의 역사다.
100여 년 이상 지속된 이 투쟁에서 사림은 공신 집단을 내몰고 집권하게 된다.
이때가 명종 말엽에서 선조 초의 일이다.

하지만 사림은 개혁적이지 못했고 사대부들의 권리만을 강화했다.
그로 인해 백성들에게 외면받음과 동시에 왕권을 위협하는 존재가 된다.
왕과 사대부들이 대립하느라 백성을 돌볼 여유가 없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큰 전쟁에서 조선이 무기력하게 대응한 것은
조선이 당쟁에 휘말려 백성들에게 신임을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림은 동인과 서인으로 나눠졌다가 서인이 남인과 손을 잡고 인조반정을 이루어내고
이후 숙종대에 경신환국-기사환국-갑술환국으로 이어지는 당권경쟁 끝에
결국 서인이 정권을 장악하게 되고 그중에서도 노론과 안동김씨 세력이
조선이 망할 때까지 지배한다.

중간중간 개혁적인 군주인 광해군, 사도세자(장조), 정조, 효명세자(익종)가 나타났지만
그들은 모두 의문의 죽음 혹은 반정을 당하게 되는데
그 바탕엔 임금은 자신들을 다스리는 자가 아닌 같은 사대부들의 대표일 뿐이라는
'조선은 사대부의 나라'라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재야 사학자였던 이덕일을 베스트셀러 작가로 만들어 준
[조선 왕 독살사건]은 세종의 아들인 문종의 의문의 죽음부터
단종, 예종, 연산군, 인종, 선조, 소현세자, 효종, 현종, 경종, 정조,
사도세자의 후예들인 은자 돌림 서자와 자손들, 효명세자, 그리고 고종에 이르기까지
조선왕조의 주요 고비마다 어김 없이 벌어진 왕의 갑작스런 죽음과
그 배경을 설명하고 왕이 독살되었을 가능성과 의문점에 대해 파헤치고 있다.

이 책을 읽다보면 조선이라는 나라의 이면과 마주하게 된다.
그동안 교과서와 주류 역사책에서 지나치게 미화되었던 모습을 벗어던지고
권력을 탐욕하는 자들이 나라를 어떻게 이끌어왔는지 맨얼굴을 볼 수 있다.
특히 명종의 섭정을 했던 문정왕후, 그리고 순조의 섭정을 했던 정순왕후 두 여인은
각각 인종과 정조의 죽음 뒤에 작정이라도 한듯 역사의 물줄기를 후퇴시켰고,
넓은 세상을 품고 온 소현세자의 갑작스런 죽음 뒤에 자리잡은 심약한 왕인 인조,
세종의 태평성대를 연장할 수 있었던 문종의 단명 배후인 음흉한 수양대군(세조)은
조선이 
강성대국으로 뻗어갈 수 있던 기회를 좌절시킨 왕들이다.
그리고 북벌의 대의를 놓친 효종과 성왕의 자질을 갖추었던 현종 등
역사가 어떻게 계략에 의해 번번히 좌절되었는지 이루 말할 수 없이 안타깝다.

조선 후기 독살설의 배후에는 항상 특정 거대 정당의 당론이 존재했다.
국왕과 거대 정당의 갈등이 증폭되었을 때 갑자기 국왕이 세상을 떠나는 방식으로
갈등이 해소된 것이다. 이는 특정 정당이 정치적 갈등의 극대화를
독살로 해소하지 않았을까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하는 이유가 됐다.
임금이 신하들의 충성을 받는 절대적인 존재가 아니라
신하들이 충성 여부를 선택하는 상대적인 존재였음을 뜻하는 것이다.

작년에 발간된 이 책 개정판의 뒷부분에는
최근 정조와 좌의정 심환지가 주고 받았던 서찰의 발견으로
정조가 독살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한국 주류 사학계에 대한 반론이 실려 있는데
저자는 지금의 한국 주류 사학계가 나라를 일본에 팔아버린 노론의
식민사관을 그대로 계승해 국사교과서에서마저 노론 위주의 사관을 펼쳐
'검은 것을 흰 것'이라고 가르치며 국사를 암기과목으로 만들어 버렸다고 한탄하고 있다.

과연 학창 시절 배웠던 국사를 돌이켜보면 뭔가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많았다.
그 빈 자리를 이 책이 메워주고 있고 또 드라마식 구성으로 되어 있어 술술 읽힌다.


PS) 개정증보판 9쇄를 샀는데도 책에 오탈자가 눈에 많이 띄는데 수정이 필요할 듯하다.



Youchang
저널리스트. [세상에 없던 생각] [스쳐가는 모든것들 사이에서 버텨가는] 저자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