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나영석이라는 이름은 하나의 브랜드다. 그는 무공해예능, 청정예능으로 불리는 예능의 새 트렌드를 만들었다. 사람냄새, 정, 이런 본질적인 가치들을 웃음과 섞어 하나의 장르를 구축했다. 시작은 <1박2일>이었다. '리얼리티 쇼'를 방송의 주류로 이끌며 재미와 의미를 동시에 추구한 예능 프로그램이었다. 나영석은 이 프로그램으로 스타PD가 됐고 2012년 박수칠 때 떠났다. 이후 케이블TV에서도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반신반의하던 주위의 시선에 대해 '꽃보다 할배'와 '삼시세끼'를 내놓으며 자신의 선택이 옳았음을 증명했다. 특히 '삼시세끼'는 케이블TV 사상 최고 시청률을 경신하며 방송의 판을 뒤흔들었다.


그는 올해 백상예술대상 방송부문 대상을 수상한 것을 비롯해 최근 한 언론사가 조사한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순위에서 이수만, 양현석에 이어 3위에 오르기도 했다. 나영석이 만드는 프로그램은 뭐가 다르기에 사람들을 매료시킬까? 그 비결을 묻기 위해 최근 상암동 CJ E&M 사옥 10층 회의실에서 그를 만났다. 다음은 그와 나눈 일문일답.



- 나PD의 프로그램은 기존 예능에서 했던 것들을 다 없앴다. 스튜디오도 없고, 사회자도 없고, 게임도 없고, 이젠 대본마저 없다. 나PD가 생각하는 예능이란 뭔가?

"내가 만드는 예능은 형식으로 보면 관찰 리얼리티 쇼에 가깝고, 내용으로 보면 느리고 아날로그적인 방송이다. 10년 전만 해도 예능은 웃기는 것이 전부였다. 하지만 지금은 웃음의 총량과 시청자들의 반응이 비례하지 않는다. 웃음 외 정보, 공감 등 다른 기준을 가진 시청자들이 많아졌다. 요즘 시청자들은 온몸으로 반응할 준비를 하고 보는데 그런 '공감각적 니즈'를 다 건드려줘야 한다. 예능은 점점 복잡한 장르가 되어가고 있다."


- 예능의 궁극적 모델로 다큐멘터리 '인간극장'을 꼽았던데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인가?

"'예능의 끝은 어디일까' 라는 생각을 곧잘 한다. 지금은 연예인들이 우리가 하고 있는 일들을 대신 하면서 시청자들을 대리만족시키고 있는데 앞으로는 일반인들이 직접 출연할 것이다. 지금도 연예인과 일반인의 중간인 셰프테이너들이 그 역할을 하고 있다. 평범한 사람들이 주는 공감이 예능의 미래라고 본다."


- <1박2일> 이후 계속 여행을 테마로 프로그램을 만들고 있다. 왜 여행인가?

"시청자들은 힘들게 일하고 집에 와서 TV를 켠다. 그런데 TV에서도 뭔가를 치열하게 하고 있으면 보기 싫어할 것 같았다. 예능은 일상에 지친 시청자들을 위로해줘야 할 의무가 있다. 그래서 의도적으로 일상의 반대편을 담으려고 한다. 여행은 누구나 꿈꾸지만 쉽게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시청자들에겐 일종의 판타지를 제공해주는 셈이다."


- 그렇게 보니 <삼시세끼>는 리얼리티이기도 하고 판타지이기도 하다.

"맞다. 누군가에게는 리얼리티고 누군가에게는 판타지다. 귀농해서 사는 사람들에게는 리얼리티고, 꿈만 꾸는 직장인들에겐 판타지다. 어느 쪽이든 시청자들이 공감하기를 바랬다."



- <삼시세끼> <꽃보다 할배>를 보면 일상적인 것 하나하나가 스토리가 된다. '옥빙구', '직진순재', '구야형' 등 일상의 순간을 포착해 캐릭터로 만드는 힘이 대단하다. 비법이 뭔가?

"비법이라기보단 열심히 관찰해서 발견하는 것이다. 가능하면 모나지 않은 사람을 캐스팅한다. 방송할 땐 그들에게서 끌어내는 게 아니라 그 사람한테 이미 있던 것들을 잡아낸다. 이서진 씨의 경우 열 마디를 하면 여덟 마디는 불평을 늘어놓지만 두 마디 정도는 누군가를 챙기는 말을 한다. 방송에선 이것을 극적으로 보여준다. 하지만 그것은 이미 이서진 씨에게 있던 성격이다."


- 소소한 일상에서 재미를 만들어낸다. 어떻게 하면 재미있는 콘텐츠가 만들어지나?

"일상에선 아무 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방송은 일상과 다르다. 뭔가 만들어내야 한다. 그러려면 충격을 줘야 한다. 내가 기자를 한 대 때린다고 생각해보자. 그러면 쫄까, 반격할까, 욕을 할까, 혹은 신고할까. (웃음) 어쨌든 그 결과로 인해 기자의 성격을 알게 될 것이다. 그러나 때리지 않으면 아무것도 모른다. 리얼리티 쇼는 연못에 돌을 던지는 것과 같다. 가만히 두면 잔잔할 뿐이지만 돌을 던지면 그때서야 인물들의 성격과 재미있는 에피소드가 나온다. 새로운 게스트를 투입하거나, 미션을 준다거나, 만들 수 없는 요리를 시킨다거나 하는 것은 잔잔한 연못에 돌을 던지는 것과 같다. 그때 성공과 실패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과정 속에서 재미있는 스토리가 나온다."



- 촬영과 편집은 어떻게 하나?

"많이들 궁금해 하는데 사실 별거 없다. <삼시세끼>의 경우 정선에서 2주에 한 번 2박3일 일정으로 촬영하는데 카메라가 40대 정도 투입된다. 편집은 PD 6명이 한다. 촬영 분량이 어마어마하게 많아서 그걸 다 볼 수 없지만 큰 줄거리가 있으니까 사실 다 볼 필요도 없다. 출연진이 서너 명 밖에 없지 않나. 그들이 모두 마당에 있던 시간이라면 굳이 방 안에 설치해놓은 카메라는 안봐도 되는 거다. 모든 편집은 PD들이 15~20분씩 나눠서 한다. 그들이 자막도 총괄한다."


- '꽃보다 할배'의 경우 할아버지들의 나이도 있어서 촬영이 쉽지 않았겠다. 오디오 잡음도 그대로 들리더라.

"사실 카메라가 몇 대인지 혹은 장비가 좋은지 나쁜지는 중요하지 않다. 돈만 있으면 좋은 카메라와 오디오 장비는 얼마든지 구비할 수 있다. 문제는 프로그램의 본질이다. 할아버지들에게 온전히 내 힘으로 여행하는 기분을 심어주는 게 이 프로그램의 포인트였다. 그걸 망치면 프로그램도 망한다고 봤다. 그래서 모든 장비는 최소화했다. 카메라는 할아버지들에게서 10미터 이상 떨어지라고 했고, 오디오 감독에겐 지직거려도 상관없으니 멀리 떨어져서 따라오라고 했다. 기술적인 실수는 감수할 수 있지만 할아버지들이 민망해하면 프로그램이 죽는다고 봤다."


- PD는 크리에이터이면서 조직의 리더이기도 하다. 나PD는 어떤 리더인가?

"리더에 대한 생각은 조금씩 바뀌고 있는데 기본적인 원칙은 있다. 팀에서 가장 낮고 약한 지위에 있는 사람에게 더 큰 관심과 사랑을 주는 것이다. 그래서 그 사람이 스스로 만족하고 팀에 기여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해야 조직이 잘 굴러간다. <1박2일>을 할 땐 일용직인 밥차 아주머니들이 어디서 자는지를 늘 체크했다. 그러면 다른 팀원들도 주인의식을 갖고 열심히 일한다."


(이 글은 매일경제신문 6월 26일자 C2면에 실렸습니다.)



Youchang
저널리스트. [세상에 없던 생각] [스쳐가는 모든것들 사이에서 버텨가는] 저자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